물리교육전공
물리교육전공은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하고 지역 사회와 국가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민주적이고 창의적이며 건전한 과학(물리)교사를 양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교육목표는 과학분야의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물리학과 물리교육학을 교육하고, 아울러 과학의 전반적인 내용을 알기 위해 개괄적으로 수학, 화학, 생물학, 지구과학, 과학교육학 등을 폭넓게 교육함으로써 과학(물리)교사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교육과정으로는 과학의 기초 과목인 물리학, 화학, 생물학, 지구과학 외에도 전공을 심화시킬 수 있는 과정으로서 역학, 전자기학, 양자물리학, 물리수학, 열·통계물리학 등을 이수하며, 최근의 물리학의 동향과 발전 방향을 알기 위하여 현대물리학, 원자핵물리학, 파동과 광학, 고체물리학 등을 이수한다. 특히 중등학교 현장 과학(물리)교사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키우기 위해 물리학습과 교수이론, 물리학습평가, 물리교재연구 및 지도법을 필수로 이수해야 하며, 교과내용과 연계한 교과교육학 교과목도 선택적으로 이수한다. 그리고 역학실험, 전자기학실험, 현대물리학실험 및 중등물리실험연구세미나 등을 통하여 실험기자재의 사용 방법과 그 작동 및 응용을 익히고, 결과 처리를 스스로 함으로써 탐구적이고 창의적인 물리 학습 능력과 태도 및 실험 학습지도 능력을 함양하고 있다.또한 정보화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현장교육에서 전산관련 기자재를 활용하기 위해 컴퓨터와 물리교육 등의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고, 환경교육을 교과내용과 연계하여 강의하고 있다. 학습 방법으로는 관련 학습 기자재를 도입한 강의와 조사·토의 및 세미나 등 다양한 방법을 도입하고 있다.